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손목 터널 증후군 테스트 원인 치료 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5. 4. 7. 10:47
    반응형

     

     

    손목 터널 증후군 테스트 원인 치료 방법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분들이 한 번쯤 손목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경험하셨을 것입니다. 특히 컴퓨터 작업, 스마트폰 사용, 가사 노동 등으로 인해 손목 사용량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손목 관련 질환은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중에서도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CTS) 은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인데요.

     

    오늘은 이 손목 터널 증후군이 무엇인지, 어떻게 자가 진단 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원인과 치료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심도 깊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정보가 손목 건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절한 대처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손목 터널 증후군, 의학적으로는 수근관 증후군 이라고도 불리는 이 질환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그 명칭은 들어봤지만, 정확한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의와 발병 기전

    우리 손목 앞쪽에는 '수근관(Carpal Tunnel)'이라는 좁은 통로가 있습니다. 이 통로는 손목을 이루는 뼈들과 횡수근 인대(Transverse Carpal Ligament)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안으로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여러 개의 힘줄(Flexor tendons)과 정중 신경(Median Nerve) 이 지나갑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바로 이 수근관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그 안을 지나가는 정중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신경 병증 입니다. 정중 신경은 엄지, 검지, 중지, 그리고 약지(네 번째 손가락)의 절반(엄지 쪽)의 감각과 엄지 두덩 근육(Thenar muscles)의 일부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데요. 따라서 이 신경이 눌리면 해당 부위에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주요 증상

    정중 신경이 압박되면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감각 이상: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절반 부위에서 저림(tingling), 무딤(numbness), 화끈거림(burning sensation) 등이 나타납니다. 특히 새끼손가락에는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만약 새끼손가락까지 저리다면 다른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2. 통증: 손목뿐만 아니라 신경 분포 영역인 손가락, 때로는 팔뚝이나 어깨까지 통증이 방사될 수 있습니다. 야간에 증상이 심해져 잠에서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을 털거나 주무르면 일시적으로 완화되기도 합니다.
    3. 근력 약화 및 위축: 증상이 만성화되면 엄지손가락 뿌리 부분의 두툼한 근육(엄지 두덩)이 약해지고 위축되어 물건을 잡는 힘이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병뚜껑을 따거나 열쇠를 돌리는 등의 미세한 동작이 어려워지고,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게 됩니다.

     

    발병 위험군

     

    손목 터널 증후군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정 그룹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성별 및 연령: 여성에게서 남성보다 3~5배가량 더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40~60대 중년 여성에게서 발병률이 높습니다. 이는 여성의 수근관이 해부학적으로 더 좁고, 임신, 폐경 등 호르몬 변화와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직업 및 활동: 손목을 반복적으로 굽히거나 펴는 동작, 진동 기구를 사용하는 직업(예: 미용사, 요리사, 생산직 근로자, 목수)이나 활동(예: 장시간 컴퓨터 사용, 악기 연주)은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기저 질환: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만, 신부전 등 특정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증가합니다.
    • 외상: 손목 골절이나 염좌 등의 외상력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 자가 진단 테스트

    손목에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혹시 손목 터널 증후군은 아닐까 걱정되실 텐데요. 병원 방문 전에 간단하게 시행해 볼 수 있는 자가 진단 테스트 방법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명심하세요! 이 테스트들은 어디까지나 참고용이며, 정확한 진단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주로 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전문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테스트 전 유의사항

    자가 진단 테스트 결과 양성 소견이 보이거나, 증상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하여 신경 전도 검사(Nerve Conduction Study, NCS),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phy, EMG), 초음파 검사 등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심 증상 체크리스트

    다음 항목들을 확인해 보시고, 2가지 이상 해당된다면 손목 터널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엄지, 검지, 중지, 약지(절반) 중 일부 또는 전체에 저림이나 통증이 있습니까?
    2. 밤에 손 저림이나 통증 때문에 잠에서 깬 적이 있습니까? 손을 털면 증상이 완화됩니까?
    3. 손에 감각이 둔하거나 남의 살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까? 때로는 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기도 합니까?
    4. 손목에 힘이 빠져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병뚜껑 따기, 단추 잠그기 등 섬세한 작업이 어려워졌습니까?
    5. 팔을 들어 올렸을 때(예: 전화 통화 시) 손목이나 손가락에 저림, 통증이 심해집니까?

     

    팔렌 검사 (Phalen's Test)

    이 검사는 수근관 내 압력을 인위적으로 높여 증상을 유발하는 방법입니다.

    1. 양쪽 손등을 서로 마주 보게 한 상태에서 손목을 최대한 아래로 꺾습니다. (기도하는 자세와 반대)
    2. 이 자세를 약 60초간 유지합니다.
    3. 이때 정중 신경이 지배하는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 약지 절반) 부위에 평소 느끼던 저림이나 통증이 재현되거나 심해진다면 양성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티넬 징후 검사 (Tinel's Sign Test)

    이 검사는 정중 신경 주행 부위를 직접 자극하여 신경 과민 반응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1.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고 손목의 힘을 뺍니다.
    2. 손목 안쪽 중앙 부위(정중 신경이 지나가는 손목 터널 부위)를 검사자의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톡톡 두드립니다.
    3. 이때 정중 신경 분포 영역인 손가락으로 찌릿하거나 전기 오는 듯한 저림(tingling sensation)이 방사된다면 양성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의 원인

    손목 터널 증후군은 앞서 언급했듯 수근관 내 압력 증가로 인해 정중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데요, 그 압력을 높이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복합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해부학적 요인

    • 선천적으로 좁은 수근관: 어떤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수근관이 다른 사람들보다 좁을 수 있습니다.
    • 손목 골절 또는 탈구: 과거의 손목 부상으로 인해 뼈의 변형이나 부정 유합이 생겨 수근관의 공간이 좁아질 수 있습니다.
    • 결절종(Ganglion cyst) 또는 종양: 수근관 내부에 물혹이나 다른 종양이 발생하여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 힘줄의 염증 또는 부종(건초염): 수근관을 지나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고 부어오르면서 내부 공간을 차지하여 신경을 누를 수 있습니다.

     

    생리적/병리적 요인

    • 염증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통풍과 같은 염증성 질환은 활액막의 염증과 비후를 유발하여 수근관 내 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대사성 질환: 당뇨병은 신경 자체의 손상(당뇨병성 신경병증)과 함께 수근관 내 조직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점액 부종을 일으켜 조직 내 체액 저류를 유발하고 신경 압박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체액 저류 상태: 임신 중이거나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 중인 환자들은 체내 수분량이 증가하면서 수근관 내 압력이 높아져 증상이 나타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비만도 관련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사용 및 직업적 요인

    • 반복적인 손목 움직임: 손목을 과도하게 굽히거나 펴는 동작, 강한 힘으로 물건을 쥐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은 수근관 내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진동 노출: 진동 공구를 장기간 사용하는 직업은 손목 터널 증후군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잘못된 자세: 컴퓨터 작업 시 손목이 꺾인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 방법

    손목 터널 증후군의 치료 목표는 정중 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통증과 감각 이상을 완화하고, 손의 기능을 회복하며, 장기적인 신경 손상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은 증상의 심각도, 지속 기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및 활동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

    증상이 비교적 가볍거나 발병 초기인 경우, 우선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 생활 습관 개선: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손목에 무리를 주는 활동이나 반복적인 동작을 최대한 피하고, 작업 중간중간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컴퓨터 작업 시에는 손목 받침대를 사용하거나 키보드, 마우스의 위치를 조절하여 손목이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약물 치료: 통증과 염증을 줄이기 위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를 단기간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만으로는 근본적인 신경 압박을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 부목 고정: 특히 야간에 손목을 중립 위치로 고정해 주는 부목(splint) 을 착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신경 압박을 줄이고 야간 통증 완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낮 동안에도 증상을 유발하는 활동 시에 착용할 수 있습니다.
    •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수근관 내에 직접 스테로이드(부신피질호르몬) 를 주사하여 염증과 부기를 가라앉히고 증상을 빠르게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효과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반복적인 주사는 신경이나 힘줄 손상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초음파 유도 하에 정확한 위치에 주사하는 것이 안전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물리 치료 / 작업 치료: 손목 및 손가락 스트레칭, 신경 활주 기법(nerve gliding exercises), 근력 강화 운동 등을 통해 손목 유연성을 높이고 기능을 개선하며 재발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한의학적 접근으로는 침, 약침, 봉침 치료 등을 통해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염증 및 통증을 완화하며, 물리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를 3~6개월 이상 시행했음에도 증상 호전이 없거나, 증상이 매우 심한 경우(예: 엄지 근육 위축, 지속적인 감각 소실), 또는 신경 전도 검사 등에서 심한 신경 손상이 확인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 수술 적응증:
      •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지속적인 증상
      • 엄지 두덩 근육의 위축 또는 현저한 근력 약화
      • 심한 감각 저하 또는 무감각
      • 신경 전도 검사 상 심각한 정중 신경 손상 소견
    • 수술 방법: 수근관 유리술 (Carpal Tunnel Release) 가장 일반적인 수술 방법은 수근관 유리술 입니다. 이 수술은 정중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주된 구조물인 횡수근 인대(Transverse Carpal Ligament) 를 절개하여 수근관의 공간을 넓혀줌으로써 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는 원리입니다.
      • 개방적 수근관 유리술(Open Carpal Tunnel Release): 손목 부위에 약 2~4cm 정도의 피부 절개를 통해 직접 눈으로 보면서 인대를 절개하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 내시경적 수근관 유리술(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작은 절개를 통해 내시경 카메라와 특수 기구를 삽입하여 인대를 절개하는 방법입니다. 개방적 방법보다 절개 부위가 작고 주변 조직 손상이 적어 회복이 빠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 위험에 대한 논의도 있습니다. 숙련된 전문의에게 수술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술 후 관리 및 예후: 수술 후에는 일정 기간 부목 고정이나 붕대 감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며, 점진적인 손목 운동과 재활 치료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수술 후 저림이나 통증 등의 증상이 즉각적 또는 점진적으로 호전됩니다.
    • 서울아산병원 자료에 따르면, 수술받은 환자의 95% 이상 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는다고 하니, 수술적 치료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미 신경 손상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일부 증상이 남거나 회복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손목 터널 증후군이 의심되는데 혹시 자연 치유는 불가능 한가요?

    A1. 증상이 아주 경미하고 일시적인 경우, 손목 사용을 줄이고 휴식을 취하면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특히 임신 중 발생한 경우는 출산 후 증상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신경 압박이 지속되면 증상이 악화되거나 만성화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영구적인 신경 손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있다면 자연 치유를 기대하기보다는 가급적 빨리 전문가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Q2. 터널 증후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이 가는데 수술 치료를 하게 되면 괜찮아질까요?

    A2. 앞서 언급했듯이, 수술적 치료(수근관 유리술)는 손목 터널 증후군의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서울아산병원의 보고에 따르면 수술받은 환자의 95% 이상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는다고 합니다.

    수술을 통해 신경 압박이 해소되면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이 크게 호전되어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수술에는 잠재적인 위험과 합병증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 결정은 반드시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후 신중하게 내려야 합니다.


    오늘은 손목 터널 증후군의 자가 진단 테스트 방법부터 원인, 그리고 다양한 치료법까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손목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있다면 가볍게 여기지 마시고, 오늘 알려드린 정보들을 바탕으로 자신의 상태를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입니다!! 건강한 손목으로 활기찬 일상을 누리시기를 응원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